레이블이 독립운동 Движение за независимост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독립운동 Движение за независимост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1년 8월 18일 수요일

홍범도 장군과 연해주


      봉오동 전투로 잘 아려진 대한독립군 총사령관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이번 광복절(21.8.15)에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 공동묘지에서 고국땅으로 돌아왔습니


<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 홍범도 장군 묘역>


       광복절을 맞아 홍범도 장군과 그 가족의 삶, 그리고 러시아 연해주에서의 항일독림운동을 되돌아 보면서 그분들의 숭고한 노력과 희생에 대해 존경과 감사를 드리고자 합니다


       1910년 국권 상실후 안중근, 이동희 등 수많은 애국지사들이 러시아 연해주로 망명하였고 블라디보스톡에는 신한촌(한인마을)이 생겨났으며 이를 거점으로 활발한 독립운동이 전개됩니다 


      홍범도 장군도 이무렵 연해주로 이주하여 본격적인 항일  무장독립투쟁에 가담하게 됩니다



  <1905년 블라디보스톡 신한촌(한인마을)>




 <1905년 블라디보스톡 신한촌(한인마을)>




<1920년 3.1운동 1주년, 신한촌에서 만든 독립문>



 <1920년 신한촌, 3.1운동 기념행진>



       홍범도 장군은 1868년 평양에서 출생, 강원도 함경도에서 포수 생활을 하다 1907년 고종강제 퇴위와 군대해산을 계기로 항일 유격전을 전개합니다


        이후 1911년 블라디보스톡으로 이주하여 항일독립군 지도자로 활동하면서 1920에는 중국 길림성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둡니다





      1922년에는 모스크바 극동민족회의에 참석하여 레닌에게 권총을 선물받고 전용차 앞에서 사진도 촬영합니다




      1937년 스탈린에 의해 연해주 한인들의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시 카자흐스탄 크즐오르다로 가게되어 극장경비 등 고된 삶을 살다 1943년 76세로 사망, 공동묘지에 안장됩니다

 

【 홍범도 장군 가족의 불행 

       부인 이옥구 여사 : 1891년 홍범도 장군과 결혼, 아들 2명          을  두었으나 1908(40) 일제의 고문으로 순국

        장남 홍양순 : 1908년 일본군과 전투중 사망

        차남 홍용환 : 아버지와 함께 항일활동중 사망

        둘째부인 이인복 여사 : 1926년경 홍범도 장군과 재혼

      ※ 홍범도 장군은 이인복 여사와 재혼 당시 혼자였으며 이인복 여사는 남편과 낳은 딸 3명을 데리고 옴


【 홍범도 장군 유품  


 <김알라 손녀가 보관중인 홍범도 장군 유품>

        첫째 부인이 고문으로 사망하고 두 아들도 후손없이 사망,직계 가족은 없으며 이인복 여사가 재혼시 데리고 온 딸들의 후손(손자,손녀)은 현재 연해주와 카자흐스탄에 거주중입니다


        그중 김알라 손녀(80)는 홍범도 장군이 물려준 유품(레닌이 하사한 나무로 된 권총 지갑, 권총을 차고 찍은 사진, 문서보관첩)을 현재 보관하고 있습니다


        제가 아시는 분이 블라디보스톡 근무시 김알라 손녀를 찾아(2011~13년) 상기 홍범도 장군 유품을 독립기념관에 기중해 줄 것을 몇번 권유했으나 여러 이유로 성사되지 못했다고 합니다


      보훈처는 홍범도 장군과 재혼한 이인복 여사의 후손들(김알라 등)에 대해 홍범도 장군의 직접 혈육이 아니라는 이유로 독립유공자 대우는 하지않고 있다 합니다.

 


2014년 6월 6일 금요일

블라디보스톡 신한촌, 한국거리, 서울거리 Синханчон(Новое Корейское Поселение), Корейская и Сеульская улицы во Владивостоке


 

   한인들의 러시아 이주는 1863.11월 한인 13가구가 연해주 하산지역 지신허 마을에 정착한 것이 최초 기록입니다
     이후 한인들은 우수리스크 및 블라디보스톡 지역으로 이동, 한인 마을을 형성하며 번창해 나갑니다
     우수리스크에는 수이푼강변(현재 라즈돌리예강) 주변으로 농촌마을(코르사코프가. 푸질로프카 등)들이 생겨났으며 블라디보스톡에는 1871년 군항 건설을 전후로 항구 인근지역에 개척리로 불리는 한인마을이 형성되었고 한국거리도 생겨나게 됩니다
     개척리 마을 한인들은 1911년 봄 전염병 확산을 빙자한 러시아 당국에 의해 북쪽 방향으로 500-600m 떨어진 언덕 지역으로 집단 강제 이주되어 신한촌을 형성하여 살다가 1937년 스탈린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됩니다
     신한촌 한인마을에는 독립문, 한인학교 등이 설립되어 있었고 자치조직인 권업회가 활동했으며 이동휘 등 독립운동 지도자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당시 신한촌에는 서울거리가 존재했는데 현재까지 동 지역(블라디보스톡 페르바야레치카)에 그대로 남아 있으며 同 서울거리 2A 번지에는 한옥(러시아인 거주) 1가구가 유일하게 남아있습니다(지도 및 사진 참조)
     항일독립운동의 근거지였던 신한촌에 지금까지 남아있는 서울거리 명칭과 서울거리 2A에 남아있는 한옥 1채는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Первое официальное упоминание о корейцах, переселившихся в Россию, относится к ноябрю 1863 года, когда в селе Тизинхэ Хасанского района обосновалось 13 корейских семей.
       В последствии корейцы начали переселяться в Уссурийск и Владивосток, основывая корейские деревни, которое со временем развивались.
       В Уссурийске появились такие сельские деревни на берегу реки Суйфун (ныне р. Раздольная) как Корсаковка и Пудиловка. Во Владивостоке после присвоения в 1871 году ему статуса военного порта появилась корейская деревня Кечонни с Корейской улицей.
       Весной 1911 года жители деревни Кечонни под предлогом эпидемии в принудительном порядке были вынуждены переселиться в Новую корейскую деревню в 5 км в северо-западном направлении. Затем в 1937 году также силой были переселены на территорию Средней Азии.
       В Новой корейской деревне были построены Арка Независимости, учебные заведения и прочее. Также там действовала автономная организация Квонопхве и проживали такие лидеры Движения за независимость как Ли Дон Хви и другие.
      В деревне находилась улица Сеульская, и по сей день в районе Первой речки есть улица с таким названием, на которой распологается одно жилое здание (ул. Сеульская, д. 2А), в котором проживает русская семья.
      Со стороны правительства и общественности чувствуется необходимость сохранения этой улицы и этого дома в качестве исторического памятника Новой корейской деревни, которая является местом Движения за независимость
 
 



현용 블라디보스톡 지도에 나타나 있는 '서울거리' 
Сеульская улица  на карте Владивостока



현용 블라디보스톡 지도에 나타나 있는 '서울거리' 
Сеульская улица  на карте Владивостока



'서울거리 2A' 번지 현재 한옥  
Жилое здание,  ул. Сеульская, д. 2А во Владивостоке



'서울거리 2A' 현재 한옥2
  Жилое здание,  ул. Сеульская, д. 2А 


'서울거리 2A' 현재 한옥3  
Жилое здание,  ул. Сеульская, д. 2А 



과거 '서울거리' 지역 (현재 주차장 사용)
 Предположительно, бывшая улица Сеульская, в настоящее время - гаражи для автомобилей



블라디보스톡 '신한촌' 현재 모습(하바롭스카야 거리)
ул. Хабаровская во Владивостоке
бывшая 'Новое Корейское Поселение'(Синханчон) во Владивостоке



신한촌(현 하바롭스카야 거리)내 과거 독립운동가 이동희 선생 거주지
Место, где  жил Ли Дон Хви в  Синханчоне(ныне ул. Хабаровская) во Владивостоке





신한촌 기념비 
Памятник в  Синханчоне во Владивостоке





신한촌에서 바라본 아무르만 모습
 Вид на Амурский залив из  Синханчона Владивостока




신한촌에서 바라본 아무르만과 블라디보스톡 일부 
Вид на Амурский залив и город из из  Синханчона Владивостока

 



 '한국거리'가 명시된 과거 블라디보스톡 지도(1909년) 
ул. Корейская на карте Владивостока(1909년)



'한국거리'가 명기된 과거 블라디보스톡 지도2 (1909년)
ул. Корейская на карте Владивостока(1909년)



블라디보스톡 과거(1900년대) 한국거리 모습(일명 개척리) 
бывшая ул. Корейская во Владивостоке(ныне ул. Пограничная)




1900년대 한국거리였던 장소의  현재 모습(현재 국경거리로 불림) 
ул. Пограничная(бывшая  ул. Корейская во Владивостоке) 
 

2014년 5월 31일 토요일

러시아 연해주 1900년초 한인 모습 2




블라디보스톡 한인마을 사람들 Корейской слободе. Люди, дома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시내 재래시장(한인 및 중국인)
 Рынок в городе Владивостока(Корейцы и китайцы)



한인 농부 Корейский крестьянин  Владивостока





한인 노동자 корейский работник Владивостока





한인 노동자2 корейский работник Владивостока




한인 뱃사공 Кореец-лодочник Владивостока


한인 어부Кореец- рыбак Владивостока



한인 여성 корейская женщина Владивостока




한인 학생들 Корейские школьники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 및 중국인 상인
 Корейские и китайские торговцы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 어부들  Корейские рыбаки Владивостока




 세메노프 항구의 한인 어부들1
 Корейские рыбацкие шаланды Семеновском ковше Владивостока



세메노프 항구의 한인 어부들2
 Корейские рыбацкие шаланды Семеновском ковше Владивостока



세메노프 항구의 한인 어부들3
Корейские рыбацкие шаланды Семеновском ковше Владивостока



한인 어부들  Корейские рыбаки Владивостока


금각만 한인들의 상선
 Корейская грузовая лодка в бухте Золотой Рог Владивостока


금각만 한인( 및 중국인)들의 나룻배
 Лодки-шампунки в Золотом роге у городской пристани 






러시아 연해주 1900년초 한인 모습1


 올해는  수교 24주년이며한인 러시아 이주 15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러시아 한인이주 역사는 1863 연해주포시예트 지신허 마을에 정착한 13가구로 부터 시작되었습니다. 1900년 초기 연해주 한인마을 및 한인들의 생활모습을 담은 사진들을 소개합니다


   Нынешний год ознаменовался празднованием 24-летия установления корейско-русских отношений и 150-й годовщиной переселения корейцев в Россию. История переселения корейцев в Россию берет свое начало в 1863 году, когда 13 семей переселилось в деревню Тизинхе Посьета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Хотел быпознакомить фотографии Корейской слободки и образа жизни корейцев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В начале 1900-х.


                     블라디보스톡 한국거리 Корейская-улица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마을1(1905년) 
Корейская слободка - Владивосток, 9 марта 1905 года


블라디보스톡 한인마을2(1905년) 
Корейская слободка - Владивосток, 9 марта 1905 года


블라디보스톡 한인마을3(북쪽 지역) 
Корейская слободка  Владивостока - вид на северную часть 



블라디보스톡 한인마을 4
Корейская слободка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마을5 
Корейская слободка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마을6
Корейская слободка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마을7
Корейская слободка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마을8(1900년초)
Корейская слободка  Владивостока, в начале 20-го ве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마을9
Корейская слободка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마을10
Корейская слободка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 노동자들(우스리스크 도로건설) 
корейские рабочие  Владивостока Приморского края





블라디보스톡 한인들  корейцы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들2  корейцы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들3  корейцы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들4  корейцы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중앙시장 한인 어린이(1900년초) Корейские дети на центральном рынке Владивостока,в начале 20-го века


블라디보스톡 한인 어린이 Корейские дети  Владивостока 



블라디보스톡 기차역의 한인들
 Корейцы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вокзале Владивостока


연해주 시골 기차역 앞 한인 야채 상인들 корейские продавцы-Овощные В передней части сельской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вокзала


블라디보스톡 폰탄나야 거리 일본인 학교 부근(한국 및 일본 학생) 
Корейские и Японские школьники на улице Фонтанной Владивостока, неподалеку от японской школы